티스토리 뷰
목차
프리젠테이션이란 목표 달성을 위한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다.
청중을 지명한다.
참가자 가운데 결정권자가 있는지를 조사한다.
만일 결정권자가 없다면 결정권자를 참가시켜주도록 요구해야 할 것이다.
결정권자만이 아니라 영향력 있는 인물, 찬동하고 협력해 줄 인물, 보이지 않는 실력자,
나아가서 반대할 수 있는 인물까지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시나리오는 3부 구성으로
최초의 결론을 담을 그릇을 도입부라 부른다.
본론부에서는 그 이유를 설명한다.
결론부에서는 다시 한번 결론을 강조한다.
정서가 풍부한 시적인 프리젠테이션을 한다면 4부 구성(기승전결)을 반대하지 않지만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프리젠테이션을 지향한다면 3부 구성을 권고한다.
복수의 방안과 평가를 제시하자
그리고 '종합적으로 판단하건대 이 방안이 귀사에 최선입니다'라고 얘기하자!
능동적으로 청취하게 하기 위해서는 쌍방향식 논의의 장이 되어야 한다.
효과의 관점에서 지명한다.
집중력이 떨어진 청중, 졸고 있는 청중, 비스듬하게 앉아 있는 청중, 딴 생각을 하고 있는 청중을 지명하면
전체가 긴장하게 된다.
시선을 맞추어 답변을 촉구한다.
시선을 맞춘다는 점이 중요하다.
말의 속도를 통제하자
사회자의 소개를 받으면 천천히 일어나서 천천히 걸어나가자.
한 번 숨을 들이 쉬자.
이 순간이 대단히 중요하다.
호흡을 하면서 청중을 둘러본다.
그리고 사회자를 향해서 천천히 '소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라고 말한다.
다시 청중을 보며 '반갑습니다'라고 천천히 인사한다.
천천히 얘기할 뿐 아니라 천천히 일어서고 천천히 걷는 등 동작 또한 천천히 하자.
그렇게 함으로써 여러분은 당당한 인상을 심어줄 수 있다.
쉬어가는 슬라이드
첫 번째 슬라이드 앞에 쉬어가는 슬라이드를 삽입해 둔다.
검은 바탕이어서 아무것도 나타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보이고 싶지 않은 내막을 보지 못하게 하려면 마지막 슬라이드 다음에 쉬어가는 검은 슬라이드를 삽입해두자.
숫자 데이터를 가공하여 그래프를 만들자
전체 매출내역을 제시하고 싶다면 원그래프나 구성 비율 막대그래프를 사용하자.
과거 5년간의 이익률 추이를 제시하고 싶다면 꺾은선그래프나 층그래프를 사용하자.
거점 간의 매출액 분포를 제시하고 싶다면
산포도나 히스토그램을 사용하고 채산 상황이나 채산점을 분명히 하고 싶다면 손익분기점 그래프를 사용한다.
두 가지를 복합적으로 제시하고 싶다면
겹치기식 막대그래프나 막대그래프와 꺾은선 그래프를 함께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