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어떻게 살 것인가

     

     

     

    민주주의 사회는 직업 선택의 자유를 보장한다.

    그러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자유일 뿐 권리가 아니다. ​

     

    천부적 재능이란 집중할 수 있는 능력이다. ​

    신앙이나 이념은 훌륭할 수 있다.

    그러나 거기에는 조건이 있다.

    다른 이념과 다른 신앙에 대한 관용을 갖추는 것이다.

     

     

    파우스트(괴테)

    이론은 모두 잿빛이며 영원한 생명의 나무는 푸르다. ​

     

     

    지식 소매상

    유용한 지식과 정보를 찾아 요약하고 발췌하고 해석하고 가공해서

    독자들이 편하게 읽을 수 있는 이야기로 만드는 것이 지식 소매상이 하는 일이다.

     

    돈벌이가 되는 그 일이 즐겁기까지 하다면 금상첨화다.

    우리는 이런 사람을 프로라고 한다.

    그 일이 무엇이든 상관없다. ​

     

     

    나에게는 꿈이 없었다.

    대입 본고사 국어 시험 작문 주제가 '내각 사랑하는 생활'이었다.

    평범한 삶을 살고 싶다고 썼다.

     

    '평범한 삶이 아름답다'

    점수는 잘 받았다.

    열아홉 살의 나는 도전하지도 않고 좌절한 현실주의자였다.

     

    평범한 삶이 아름답고 행복할 수 없다는 것이 아니다.

    내 문제는 꿈이 없다는 것이었다. ​

     

     

    자기결정권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기결정권을 행사하는 일이다.

    자기결정권이란 스스로 설계한 삶을 옳다고 믿는 방식으로 살아가려는 의지이며 권리이다.

     

    철학자 존 스튜어트 밀의 표현을 가져다 쓰자.

    사람은 누구든지 자신의 삶을 자기 방식대로 살아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방식이 최선이어서가 아니라 자기 방식대로 사는 길이기 때문에 바람직한 것이다. ​

     

     

    부탁받지 않았다면 충고하지 마라! 젊은이들은 방황하고 틀릴 권리가 있다.

    나이가 많이 들면 한 걸음 뒤로 물러나 있으면서

    후배들이 지혜를 구하러 오면 조심스럽게 조언을 하는 선에 머무르는 게 바람직할 것 같다.

    조언을 할 때도 꼭 옳은 생각은 아닐지 모른다는 단서를 붙이면 더 좋을 것 같다. ​

     

    생명은 존엄하다.

    그러나 죽음 역시 존엄해야 한다.

    소생할 가능성이 없는 환자에게 연명 치료를 하는 것은 환자의 생명을 살리는 것이 아니라 죽음을 모독하는 행위이다. ​

     

     

    칸트의 정언명령

    경험의 도움이 없어도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규칙으로 칸트의 도덕법에서 두 가지를 주장하고 있다.

    ⑴ 스스로 세운 준칙에 따라 행동하되 보편적 법칙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할 수 있는 준칙이라야 한다.

    ⑵ 나 자신이든 다른 어떤 사람이든 인간을 절대로 단순한 수단으로 다루지 말고

    언제나 한결같이 목적으로 다루도록 행동하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