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의 여인아마 네 살쯤이었나 보다.두 살배기 기어다니는 동생과 나만이 목포 이층집의 외진 방 안에 남겨져 있었는데,마침 그때 바로 이웃집에서 큰불이 났다. 영겁의 시간이 흐른 뒤 어디선가 갓난애 울음소리가 찢어지는 듯이 들렸다.내 동생 팥쥐의 울음소리였다.팥쥐는 질식할 것 같은 기분을 본능적으로 느꼈는지 굉장히 크게 울었다.그때서야 바깥의 모든 소리들이 힘차게 유리창을 뚫고 들어오기 시작했다. 비로소 엄마의 목소리가 들려왔다.엄마는 이웃집에 불이 났다는 말을 듣고 시장에서부터 숨이 끊어져라 달려왔다고 했다.콩쥐야, 이층 문을 열어라, 그리고 계단을 굴러라. 어서. 찢어지게 우는 팥쥐의 울음소리 사이로 엄마의 비명 같은 소리가 들려왔다.나는 더듬더듬 손을 내밀어 이층 문고리를 열어젖혔다.아래층으로 가는 계..

어린 왕자(앙투안 드 생텍쥐페리)'저길 봐! 밀밭이 보이지. 난 빵을 먹지 않으니 밀은 내게 아무 소용이 없어.그러나 너는 금발이니까 네가 나를 길들인다면 나는 밀밭을 볼 때 네 생각이 날 거고,밀밭을 스쳐가는 바람 소리도 좋아하게 될 거야.제발 날 길들여다오!'라고 간청한다. 그 후 어린 왕자는 깨닫는다.수천 송이의 장미꽃이 있어도 자신의 장미꽃보다 전혀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왜냐하면 그것은 자신이 물을 주고 덮개를 씌워주고 벌레를 잡아준 '내 장미꽃'이니까. 여우는 어린 왕자에게 사랑의 비밀을 가르쳐 준다.'중요한 건 마음으로 보아야 하는 거야. 본질적인 건 눈에 보이지 않거든.네가 길들인 것에 대해 언제나 책임을 느껴야 해.' 어린 왕자가 비행사 아저씨에게 가르쳐 준 사랑의 비밀도 바로 그것이다.'..

경제적으로 흙 수저로 태어났지만 자존감이 높은 사람들은외적 자극에 흔들리지 않는 평정심과 할 수 있다는 긍정적 인생 대본을 지니고 있습니다. 주로 화목한 가정에서 부모와의 안정된 애착 연결 속에서 정서적 양육을 풍요롭게 받은 사람들은현재 사정이 어렵더라도 희망찬 금빛 비전을 선택할 줄 아는 정서적 금수저입니다. 인류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영유아 한 명의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해서는아기 한 명 당 최소 네 명의 어른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그러나 핵가족이 되면서 아이를 어린이집에 보내게 되면서 정서적 흙 수저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아이를 낳기만 하면 국가가 키워 주겠다고 공약하면서 아동 복지 예산과 출산 장려 예산을 늘렸습니다. 그러나 출산율이 높아지지도 않고 아이 키우는 일이 ..

자존감자존감은 감정적으로 자신을 사랑하는 마음이다.그리고 이성적으로는 스스로 결정하고 자신의 결정을 존중하는 능력이다. 당신이 사랑받지 못한다고 해도 그것은 당신 잘못이 아니다.시험을 못 봤다고 해서 나쁜 학생이 아닌 것처럼. 자존감의 가장 기본적인 정의는 '자신을 어떻게 평가는가?'이다성장 소설에는 어김없이 사랑 이야기가 등장한다.이유가 뭘까?사춘기가 성욕이 가장 왕성할 때라서가 아니다. 성장은 자존감을 획득하는 과정이고, 자존감을 갖추면 사랑부터 찾기 때문이다.반대로 자존감이 무너지면 사랑에 대한 능력부터 의심하게 되어 있다. 세상의 모든 사랑은 관심에서 시작된다.집이 어딘지, 무엇을 했는지 등 사소한 관심이 번져 존경과 사랑이 싹튼다.자신을 사랑하는 것도 똑같다.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어..

기본 독서법독서 습관이 잡히지 않은 초등 고학년에게 적합한 방법으로장편 동화를 일주일에 한 권씩 연간 52권 정도를 제대로 읽는 것입니다.우리 뇌에는 읽기를 관장하는 영역이 따로 없기 때문에글을 읽으려면 뇌의 여러 부위가 축구 경기를 하듯 팀플레이를 펼쳐야 합니다. 후두엽은 눈으로 받아들인 시각 정보를 측두엽에게 패스합니다.측두엽은 시각 정보를 재빨리 표음 해독합니다.이렇듯 문장 하나를 해석하려면 뇌의 거의 모든 부분이 총동원되어야 합니다. 방관자(제임스 프렐러)에릭 헤이스가 처음 그를 봤을 때 데이비드 할렌 백은 뛰고 있었다.아이가 에릭 헤이스의 시선을 통해 가장 먼저 바라보는 대상은 데이비드 할렌 백입니다. 그런데 뛰고 있군요.겁에 질려 있어 다급하게 도망치고 있어 할렌 백의 두려움과 다급함에 ..

결정적 시기비테의 아버지인 칼 비테 목사의 말을 빌리자면조기 교육은 어린아이의 지력에 서광이 비치기 시작함과 동시에 시작하는 교육이다. 교육을 시작하는 시기가 늦어지면 늦어질수록 어린아이가 갖고 태어난 가능 능력의 실현비율이 낮아지게 되는데,이것이 어린아이가 가진 가능 능력 체감 법칙이다. 이런 법칙이 생기는 이유는 동물의 능력에는 특정한 발달 시기,즉 ‘결정적 시기’가 있기 때문이다.조기교육이 영재를 만드는 까닭도 바로 여기에 있다. 마그데부르크 모임 아들이 태어나기 전 마그데부르크에는 몇 사람의 청년교육자가 모임을 만들어 교육 문제를 연구했는데,‘어린아이에게 중요한 것은 천성이지 교육은 아니다.교육자가 아무리 열심히 교육한다고 해도 그 결과는 뻔한 것이다’라는 이야기가 나왔다. 비테의 아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