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러미 벤담의 공리주의공리주의의 핵심 사상은 간결하며, 직관적으로 마음에 와닿는다.도덕의 최고 원칙은 행복을 극대화하는 것, 전반적으로 쾌락이 고통을 넘어서는 것이라는 주장이다. 벤담에 따르면, 옳은 행위는 '공리'를 극대화하는 모든 행위이다.그가 말하는 '공리'란 쾌락이나 행복을 가져오고, 고통을 막는 것 일체를 가리킨다. 벤담은 다음과 같은 추론을 거쳐 자신이 주장하는 원칙에 도달한다.우리는 모두 고통과 쾌락이라는 감정에 지배된다. 이 감정은 우리의 '통치권자'다.이는 모든 행위를 지배할뿐더러 무엇을 해야 하는지도 결정한다. 옳고 그름의 기준은 "그의 주권에 달렸다". 우리는 모두 쾌락을 좋아하고 고통을 싫어한다. 공리주의 철학은 이 사실을 인정할 뿐 아니라 도덕적·정치적 삶의 기초로 삼는다.공..

긍정의 역설을 바라는 이들에게는 미안한 말이지만, 이 책은 좀 다른 길을 간다우리는 왜 내 삶의 일부인 특정한 일에 저항할까?그런 숙제들에 관해 이미 부정적인 의견을 갖고 자기 대화를 나누기 때문이다. 일상에 지긋지긋하다고 여기는 일을 떠올려보면 내 말이 무슨 뜻인지 알 것이다.여러분의 자기 대화에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이 책은 파멸적 독백을 경험해 본 이들을 위한 것이다.당신더러 답을 찾으라는 얘기가 아니다.당신이 곧 답이다. 자주 하는 생각은 삶을 바꾼다과학자들은 생각이 실제로 뇌의 물리적 구조를 바꿀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신경가소성’이라고 하는 이 현상은 인간 정신을 이해하는 데 혁명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기억하라 당신을 둘러싼 인생의 여건이 아무리 힘들고 어렵고 버거워도,결론을 가장..

트리거(trigger)트리거(trigger)란 우리의 생각과 행동을 바꾸는 심리적 자극이다. 변화에 있어 두 가지 불변의 진리1. 실질적인 변화는 정말 이루기 어렵다정말 의미 있는 사실은 내가 진정 변화하기로 결심했으며, 그 결심을 성공적으로 실행에 옮겼다는 것이다. 2. 변화를 원하지 않는 사람은 누구도 변화시킬 수 없다.어떤 이들은 변화를 원한다고 말하지만 그게 정말 진심이 아닐 수도 있다. 주변의 도움에 그토록 격렬히 저항하는 사람은 인간적으로나 업무적으로나 도움이 되지 않는다."간단하다"와 "쉽다" 사이에는 엄청난 차이가 있다. 믿음의 트리거우리의 내적 신념은 심지어 실패하기도 전에 그 실패를 재촉한다.우리는 그 믿음들을 신조처럼 여기며, 우리의 나태한 대응을 정당화시키는 수단으로 삼고..

다른 사람이 말을 할 때에는 그 말 자체가 아니라 말하고자 하는 의도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누군가 우리를 향해 이기적이라고 말할 경우 십중팔구 그들이 원하는 바를 우리가 하지 않기 때문이다. 꼭 해야 할 일이라면 마치 놀이를 하듯 하라.인생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우리가 거기에 의미를 부여했을 뿐이다.진정한 의미란 살아있음 바로 그것이다. 이 세계는 완벽하다.그것은 혼란의 도가니였다.이 세계는 항상 그렇게 혼란의 도가니였다. 우리는 세계를 변화시키려 해서는 안 된다.우리의 임무는 자신의 삶을 바로잡는 것이기 때문이다. 왜 저 나무들 아래를 걷다 보면 항상 크고 아름다운 생각들이 내 머릿속에 돋아나는 것일까?월트 휘트먼은 묻는다.생각건대 겨울과 여름 내내 그 나무들 위에 걸려 있던 생각들이 마침 ..

마스터리(내 안에 숨겨진 최대치의 힘)주변 세계와 타인들 그리고 자기 자신을 온전히 장악하며 자유자재로 다스리는 힘이다. 현자의 돌돌이나 금 속에 생명을 불어 넣어 그 화학적 구성을 바꿈으로써 금으로 변화시켜 준다고 믿어지는 물질 사회지능이 세상은 각기 다른 성질과 기질을 가진 사람들로 가득하다.순진함을 극복하겠다는 의욕이 넘친 나머지 냉소적인 태도를 취하고 싶은 유혹에 굴복하지 마라. 당신이 택해야 할 가장 효과적인 태도는 온전한 수용의 태도다.당신은 다른 사람의 본성을 바꾸려고 해서도 안되고 또 바꿀 수도 없다.대신 그들 욕구의 희생자가 되는 것은 어떻게든 피하라. 당신은 다양한 인간 군상에 대한 관찰자이어야 하며 최대한 관대한 포용력을 발휘함으로써타인을 이해하고 필요한 경우 그들의 행..

호혜 원칙의 양극단에 선 사람들 사회과학자들은 상대방에게 주기를 좋아하는 사람을 기버(giver),자신이 준 것보다 더 많이 받기를 바라는 사람을 테이커(taker),손해와 이익이 균형을 이루도록 애쓰는 매처(matcher)로 구분한다. 테이커가 승리를 거둘 경우 패자가 있게 마련이지만 기버의 성공은 주변 사람들의 성공을 유도하는 파급효과를 낸다.모두가 당신의 승리를 원할 경우 승리는 더 쉬워진다.적을 만들지 않으면 성공은 더 쉽다. 희생·성공의 부메랑(링컨)역사학·정치학·심리학 전문가들은 역대 대통령을 평가하며 링컨을 명백한 기버로 평가했다.링컨은 양보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에서도 타인을 위해 양보했다.그의 관심사는 오로지 시민 각자의 행복에 있었다. 5분의 친절 법칙 타인을 위해 단..